간접의문문이란?
간접의문문은 직접적인 질문을 하지 않고도 정보를 물어보거나 전달하는 문장입니다. 보통 예의 바른 표현으로 사용되며, 누군가에게 직접적으로 질문하는 것이 실례가 될 때 유용합니다.

간접의문문 사용하는 이유
예의 바름: 직접적으로 질문하는 것보다 부드럽고 예의 바르게 들립니다.
- 예: “너 몇 살이니?” → “몇 살인지 물어봐도 될까요?”
공손함: 특히 처음 만난 사람이나 격식을 차려야 하는 상황에서 유용합니다.
- 예: “왜 늦었어?” → “늦은 이유를 알려주실 수 있나요?”
간접적인 정보 전달: 누군가의 의견이나 정보를 간접적으로 물어볼 때 사용됩니다.
- 예: “그가 어디 가는지 알아?” → “그가 어디 가는지 아세요?”
간접의문문 형성 방법
의문사가 있는 간접의문문: 의문사가 주어와 동사 사이에 위치합니다.
- 직접의문문: “Where is the library?” (도서관이 어디에 있나요?)
- 간접의문문: “Can you tell me where the library is?” (도서관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줄 수 있나요?)
의문사가 없는 간접의문문: 의문사가 없는 경우 if나 whether를 사용합니다.
- 직접의문문: “Is it raining?” (비가 오고 있나요?)
- 간접의문문: “Do you know if it is raining?” (비가 오고 있는지 아세요?)
간접의문문 예문
의문사 있는 간접의문문
“What time does the show start?” (쇼가 몇 시에 시작하나요?)
- 간접의문문: “Could you let me know what time the show starts?” (쇼가 몇 시에 시작하는지 알려줄 수 있나요?)
“Why did she leave early?” (그녀는 왜 일찍 떠났나요?)
- 간접의문문: “Do you have any idea why she left early?” (그녀가 왜 일찍 떠났는지 알고 있나요?)
“Where did you buy that book?” (그 책을 어디서 샀나요?)
- 간접의문문: “Can you tell me where you bought that book?” (그 책을 어디서 샀는지 알려줄 수 있나요?)
“How does this machine work?” (이 기계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 간접의문문: “Can you explain how this machine works?” (이 기계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설명해 줄 수 있나요?)
“Which color do you prefer?” (어떤 색을 선호하나요?)
- 간접의문문: “I wonder which color you prefer.” (어떤 색을 선호하는지 궁금해요.)
“When will the meeting end?” (회의가 언제 끝나나요?)
- 간접의문문: “Can you tell me when the meeting will end?” (회의가 언제 끝나는지 알려줄 수 있나요?)
“Why is the sky blue?” (왜 하늘은 파란가요?)
- 간접의문문: “Do you know why the sky is blue?” (왜 하늘이 파란지 아세요?)
“How much does this cost?” (이거 얼마인가요?)
- 간접의문문: “Could you tell me how much this costs?” (이거 얼마인지 알려줄 수 있나요?)
의문사 없는 간접의문문
“Did he finish the project?” (그가 프로젝트를 끝냈나요?)
- 간접의문문: “Can you tell me if he finished the project?” (그가 프로젝트를 끝냈는지 알려줄 수 있나요?)
“Is this seat taken?” (이 자리에 누가 앉아있나요?)
- 간접의문문: “Do you know whether this seat is taken?” (이 자리에 누가 앉아있는지 아세요?)
“Will they join us for dinner?” (그들이 저녁 식사에 합류할 건가요?)
- 간접의문문: “Could you let me know if they will join us for dinner?” (그들이 저녁 식사에 합류할지 알려줄 수 있나요?)
“Can she come to the party?” (그녀가 파티에 올 수 있나요?)
- 간접의문문: “Do you know if she can come to the party?” (그녀가 파티에 올 수 있는지 아세요?)
“Did you see the new movie?” (새 영화를 봤나요?)
- 간접의문문: “I wonder if you saw the new movie.” (새 영화를 봤는지 궁금해요.)
“Does he like chocolate?” (그는 초콜릿을 좋아하나요?)
- 간접의문문: “Do you know if he likes chocolate?” (그가 초콜릿을 좋아하는지 아세요?)
“Will it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까요?)
- 간접의문문: “Can you tell me if it will rain tomorrow?” (내일 비가 올지 알려줄 수 있나요?)
“Is the store open?” (가게가 열려 있나요?)
- 간접의문문: “Do you know if the store is open?” (가게가 열려 있는지 아세요?)
간접의문문 만드는 법 도식화
- 의문사 있는 간접의문문
- 형식: 의문사 + 주어 + 동사
- 예:
- 직접의문문: “Where are you?” (당신은 어디에 있나요?)
- 간접의문문: “Could you tell me where you are?” (당신이 어디에 있는지 알려줄 수 있나요?)
2. 의문사 없는 간접의문문
- 형식: if/whether + 주어 + 동사
- 예:
- 직접의문문: “Do you like pizza?” (피자를 좋아하나요?)
- 간접의문문: “I wonder if you like pizza.” (피자를 좋아하는지 궁금해요.)
간접의문문 활용 팁
간접의문문은 아래와 같이, 정보를 요구하는 문장에 붙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Can you tell me…?
Tell me…
I don’t know….
Let me know…
I wonder….
요약
간접의문문은 직접적으로 묻지 않고 정보를 얻거나 질문하는 방법입니다. 예의 바르고 공손한 표현을 사용해 상대방에게 더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의문사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로 나누어 사용하며,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