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영어를 배우는 학생들이 가장 헷갈려 하는 부분중의 하나인 관계대명사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말과 영어의 다른 점
관계대명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말과 영어의 차이점에 대해서 이해해야 합니다. 우리말에서는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 또는 형용사 (구/절)이 반드시 명사의 앞에 위치하게 됩니다.
예를들면, “자고있는 저 아이를 좀 봐!” 라는 문장에서 처럼 “아이”라는 명사를 꾸며주는 “자고있는”이라는 형용사구가 수식을 받는 명사의 앞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명사를 꾸며주는 형용사구가 더 길어져도 마찬가지 인데요.
예들들어, “소파위에서 자고 있는 저 아이를 좀 봐!”라는 문장에서 처럼 “아이”를 꾸며주는 형용사구가 아무리 길어져도 반드시 명사앞에 위치하게 됩니다.
같은 의미의 문장을 영어에서 살펴볼까요?
Look at the sleeping baby.
위의 문장에서 처럼 baby를 꾸며주는 “sleeping”이라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현재분사는 명사 “baby” 앞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이는 우리말과 동일합니다.
하지만 형용사 역할을 하는 구나 절이 길어지면 이야기가 다릅니다.
Look at the baby sleeping on the sofa.
(소파에서 잠을 자고 있는 저 아이 좀 봐.)
이 문장은 이렇게도 쓸 수 있는데요,
Look at the baby who is sleeping on the sofa.
바로 이때 등장하는 “who”를 관계대명사라고 합니다. 관계대명사 중의 일부는 의문사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더라도 의문사처럼 해석하지 않습니다.
왜 관계대명사라고 부를까?
관계대명사는 영어로 relative pronoun 이라고 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관계대명사는 관계를 지어주는 , 즉 연결하는 “접속사”역할과 “대명사”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특별한 역할을 하는 대명사 입니다.
위의 관계대명사가 들어간 문장을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은 두개의 문장의 의미가 합쳐진 것입니다.
1. Look at the baby.
2. He is sleeping on the sofa.
두문장을 합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접속사를 통하여 합치는 것입니다.
Look at the baby and he is sleeping on the sofa.
그러나 영어에서는 같은 의미의 단어가 반복되어 사용되는 것을 되도록 피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접속사와 두번째 문장에서 the baby를 지칭하는 대명사인 he를 합쳐 하나의 단어 who로 바꿀 수 있습니다.
즉, and (접속사) + he (대명사) = who (관계대명사)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관계대명사를 이용해서 위의 문장을 다시 작성하면, 아래와 같은 문장이 됩니다.
Look at the baby who is sleeping on the sofa.
선행사란?
앞서 말한 것 처럼 관계대명사는 관계대명사 절 앞에 나오는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므로, 일종의 “긴 형용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명사를 꾸며주면서 주어와 동사를 갖춘 것을 “형용사절” 이라고 합니다. “절” 이라고 하는 것은 주어와 동사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관계대명사 절, 즉 형용사절의 앞에서 꾸밈을 받는 명사를 선행사라고 합니다. 선행사 (先行詞)는 형용사절 보다 앞에나오므로 그렇게 이름이 지어졌습니다.
관계대명사의 분류
관계대명사는 선행사의 성격에 따라 알맞은 형태를 사용해야 합니다. 선행사의 성격에 따라 관계대명사를 분류해 보면 아래의 표와 같습니다.
선행사 | 주격 관계대명사 | 소유격 관계대명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사랑 | who | whose | who(m) |
동물, 사물 | which | whose | which |
사람, 동물, 사물 | that | that | |
선행사 X | what | what |
관계대명사의 격
관계대명사가 형용사절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느냐에 따라 세가지 격으로 나눕니다.
* 주격 관계대명사 : 형용사절 안에서 주어 역할을 함
I have a friend who can speak five languages.
who = and + he |
※ 관계대명사가 형용사절에서 “주어” 역할을 하므로 주격 관계대명사
* 목적격 관계대명사 : 형용사절 안에서 목적어 역할을 함
This is the boy who(m) I met in Paris.
who(m) = and + him |
※ 관계대명사가 형용사절에서 “목적어” 역할을 하므로 목적격 관계대명사.
* 소유격 관계대명사 : 형용사절 안에서 명사를 꾸며주는 소유격 역할을 함
I know a boy whose hair is very long.
whose = and + his |
※ 관계대명사가 소유격 인칭대명사 역할을 대신하므로 소유격 관계대명사
특별한 관계대명사 what
관계대명사 중에는 특히 선행사를 이미 포함하고 있는 관계대명사가 있습니다. 바로 관계대명사 what 인데요, 관계대명사 what은 the thing which(that)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This is the thing which I want.
이문장에서 that thing which는 관계대명사 what과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This is what I want.
관계대명사 what은 주로 “~것”으로 해석 됩니다.
What I want for lunch is a ham sandwich.
(내가 점심으로 원하는 것은 햄 샌드위치야.)
I can’t believe what you said.
(네가 말한 것을 믿지 못하겠어.)
★ 관계대명사 연습문제 (Click!)